[과학의날] 은 대한민국 국가기념일,법정기념일로 과학 기술의 진흥을 위하여 제정된 기념일의 하나.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든 국민생활의 과학화를 촉진하기 위해 제정한 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의 발족일을 기념하여 1968년 4월 21일을 [과학의 날]로 정하였고, 1973년 3월 30일 제정, 공포된 「각종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확정되었다.
[과학의날] 소개 및 행사안내
과학의 날에는 사회에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과학의 대중화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매년 4월 21일 거행되는 과학의 날 기념식에는 과학기술진흥에 힘써온 과학기술계 유공자들을 표창 또는 수상하며, [과학의 날]을 전후한 시기 과학의 진흥과 대중화를 위한 여러 행사들을 전개합니다.[과학의 날] 기념식은 정부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부처이지만, 실제 행사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합니다. 그 외에 과학관, 과학창의재단, 각급 학교 등 다양한 기관과 단체가 전국적으로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행사를 개최합니다.
[과학의날]변천과 현황
[과학의 날]의 유래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34년 한국인 과학기술자와 민족주의 인사들이 [과학데이]를 정하고 민족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대중적 행사를 벌였습니다. 당시 발명학회(發明學會) 전무 김용관(金容瓘)의 제창으로 해마다 다윈(Charles R. Darwin) 이죽은지 5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1934년 4월 19일을 [과학데이]로 정하고 행사를 열었습니다.한국 최초의 [과학의 날] 입니다. 이를 전후한 시기에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위한 강연회, 활동사진 상영회, 대중 거리행렬, 과학관,박물관,공장 견학 등의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러한 민족적 움직임은 해방 직후 계승되지 못하다가, 1960년대 산업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에 적극 투자하기 시작한 박정희 대통령 정부에 의해 국가 기념일의 형태로 재현되었습니다. 박정희 정부는 1960년대 말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한국과학원(KAIS)을 설치하여 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을 진흥했고, 정부 부처로 과학기술처를 설립하여 국가 과학기술 진흥사업을 총괄하게 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고 과학기술자에 대한 사회적 대우를 제고하기 위한 사업도 기획했는데, 과학의 날 제정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제1회 과학의 날 행사는 1968년 4월 21일 서울시민회관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 지금까지 기념식이 중단 없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든 국민생활의 과학화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주관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지만 행사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합니다. 중앙행사에는 정부 및 국회 주요인사,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등이 참여해 기념식을 열고, 대한민국과학기술상 시상 및 과학기술진흥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한 뒤 부대행사로 대덕연구단지를 방문합니다.지방에서는 각 학교별로 우수 과학 어린이,교사에 대한 과학기술부장관 표창, 과학실습 및 각종 과학경진대회, 과학 강연회 등을 개최하며, 그밖에 전국적으로 모형항공기 공작대회, 기계과학 공작대회, 전자과학 실험대회를 비롯해 대학 우수연구센터 개방, 기상관서 및 천문대 개방, 학술 세미나, 올해의 과학기자상 시상식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벌이기도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조직법 제29조(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협력,진흥,과학기술인력 양성,원자력 연구 개발,생산,이용,국가정보화 기획 정보보호,정보문화, 방송 통신의 융합 진흥 및 전파관리, 정보통신산업,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합니다.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관련 중앙행정기관입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후신으로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약칭은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시행 2018.08.01.)에 의거한 과기정통부로, 줄여도 타 부처들의 정식 명칭 수준으로(줄이지 않은 명칭들만큼) 길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더 줄여 과기부로 부르기도 합니다.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인수위도 없이 급작스러운 정권 교체가 이뤄지게 되어, 문재인 정부의 정부조직법 개편 초안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 명칭을 일단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지만 본격적으로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심의가 실시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습니다. 정보통신도 일종의 과학기술 안의 카테고리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정보통신이라는 단어를 빼면 그쪽 업계에서 불만을 표출하기 때문에 긴 이름이 되었습니다. 과거 부처를 나눌 때, 기초과학기술은 과학기술부, 응용과학 및 산업기술은 산업자원부라는 형태로 이원화시켰는데, 그 중간의 어딘가 경계가 애매한 부분이 있어왔습니다. 정보통신도 산업적 측면에서 보면 산업통상자원부에 넣을 수도 있는데, 실제로 이명박 정부 시절 지식경제부라는 이름으로 정보통신 업무를 가져가기도 했었습니다. 사실 정보통신 분야만 이런 게 아니라 원자력분야 등 다른 부분도 필요에 따라 과학 부처에 넣을 수도 있고, 산업 부처에 넣을 수도 있다. 과기부 시절 원자력국장이 100대 요직이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오죽했으면 김대중 대통령 당선 이후 구성된 정부조직개편심의위원회에서 과학기술처+통상산업부+중소기업청+정보통신부 라는 매머드급 통합으로 (가칭)산업기술부를 만들자는 안도 나온 적이 있습니다. 이처럼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각 부처 공무원들이 모 부처 확장 논리를 만들어서 파워 게임을 하기 때문에 여기다 붙였다 저기다 붙였다고 합니다. 부처명 변경은 "과학기술의 중요성, 정보통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그 자체가 미래를 포함하기 때문에 여야 4당 간에 쉽게 합의되었다"라고 합니다. 자유한국당도 큰 반발 없이 합의했습니다. 과학기술, 정보통신 관련 단체들이 부처 명칭에 저마다 단어들을 넣어달라고 각 당들에게 로비를 벌여 명칭이 나열식으로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기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담당하던 기능 중, 창업 진흥(벤처기업, 스타트업) 등 창조경제 업무는 신설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되었습니다. 대신 차관급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추가로 설치해, 차관급을 3명까지 두게 된 매머드급 부처로 올라서게 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추후에 있을 2차 정부조직 개편에서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로 분리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견해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2008년 떨어져 나가면서 소관 업무의 이원화 문제 등으로 끊임없이 지적당해오던 통신 분야 일원화(방송통신+정보통신) 문제도 아직 불씨가 살아 있습니다.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로 합쳐져 있는 상태입니다.관가에서는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현 디지털정부국) 조직과 소관 업무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소관 업무 등을 욕심내볼 만하다고 본다고 합니다. 특히 행정안전부 소관인 개인정보보호 관련 업무등을 가져오고 싶어 한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실제로 정보통신부가 폐지되기 전에는 정보통신부에서 관장하던 업무이기도 합니다.
댓글